과학교육

과학적 방법(귀납법)

소물리에 2022. 12. 19. 22:35

귀납법은 논리적 추리의 한 유형이다. 귀납법은 가장 먼저 제시된 과학적 방법으로서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적 연구 및 과학 교수-학습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귀납법은 경우에 따라 문제와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귀납법의 정의, 원리, 한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귀납법의 정의 및 특징

귀납법은 구체적 사례들을 바탕으로 일반적 원리를 이끌어 내는 논증 과정을 일컫는다. 따라서 귀납적 추리는 새로운 과학지식의 발견에 효과적이다. 베이컨(F. Bacon, 1561~1626)은 귀납적 추리만이 자연의 진리에 이르는 이상적인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였고, 귀납적 추론을 과학적 방법으로 적극 이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경험주의에서도 관찰의 결과에서 과학적 법칙을 일반화하는 방법으로 귀납법을 중요시 여긴다.

 

2. 귀납의 원리, 세 가지 원칙

귀납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만족할수록 보다 보다 효과적이다. '일반화의 바탕이 되는 관찰 언명의 수가 가능한 많아야 한다.', '가능한 광범위한 상황 속에서 관찰되어야 한다.', '관찰 언명이 일반화된 보편 법칙과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이 원리는 '여러 조건에서 A를 수없이 관찰하고, 관찰된 A가 모두 B의 특성을 지닌다면, 모든 A는 B의 특성을 갖는다.'와 같이 진술됨을 의미한다.

 

3. 귀납법의 문제와 한계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귀납법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관찰의 이론 의존성을 지닌다. 관찰이 이론, 선행지식, 기대감 등에 영향 받음을 의미한다. 둘째, 관찰 횟수와 관찰 상황의 한계로 인한 귀납의 원리를 불만족한다. 귀납법은 일반화에 필요한 관찰 횟수와 관찰 상황의 다양성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귀납의 원리를 충분히 만족할 수 없다. 셋째, 추상적 지식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관찰해야 할 현상이 매우 미시적이거나 거시적이어서 관찰 및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 이를 과학지식으로서 논증이 불가능하다. 넷째, 관찰이 부정확하다. 인간이 측정한 관찰 및 측정에는 오차가 필연적이며, 이는 때론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귀납법이 갖는 문제와 한계 때문에 현대의 과학적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과학적 방법 중 가장 기초적이며, 많은 과학적 방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수행하는 많은 실험들이 귀납법의 형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교수-학습적인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