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추법은 과학적 방법 중 어떤 현상의 원인이나 형성과정에 대한 설명을 추리하는 과정을 뜻한다. 쉽게 말해, 어떠한 관찰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가설을 세우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이 글에서는 귀추법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귀추법의 정의와 다른 과학적 방법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몇 가지 예시를 통해 면밀히 살펴보도록 하자.
귀추법의 정의
귀추법이란 어떤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인과적 의문을 설명하기 위해 경험이나 사전지식등을 활용하여 가설을 제안하는 과학적 방법을 의미한다. 귀추법은 과학적 발견이 일반적 명제의 형식으로 진술된 가설이 아니라 특정한 관찰사실에서 출발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역행추리로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귀추적 추리의 핵심은 결론이 아니라 관찰현상에 대한 '최선의 설명추론'이다.
귀추법과 다른 과학적 방법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귀추법은 특이한 관찰 사실의 원인이 된 가설(또는 모형이나 원리)을 추론하는 가설적 추리로서 본질적으로 가설-연역법과 같으며, 이런 의미에서 가설추리법 또는 가추법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귀추법은 특수한 사실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귀납법과 공통점이 있으나, 귀추법은 과찰을 통해 수집한 증거를 바탕으로 직접 일반화(가설형식)를 이끌어내는 귀납법과 대조된다. 또한 일반화로 진술된 가설에서 관찰된 현상을 예상하여 제시하는 연역법과 대비된다.
귀추법의 예시
뉴턴(I. Newton, 1642~1727)이 케플러(J. Kepler, 1571~1630)의 제3법칙과 호이겐스의 구심력을 설명하기 위해 만유인력 가설을 제시한 것은 귀추법의 예시이다. 또한 케플러가 화성의 타원형 공전 궤도를 제시한 과정 등이 귀추법을 적용한 좋은 예이다. 케플러는 화성의 공전 궤도가 타원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브라헤(T. Brahe, 1546~1601)의 자료를 바탕으로 화성의 타원 궤도 가설을 법칙으로 확립했다. 이와 같이 귀추법에서는 관찰 증거가 먼저 제시되고 그 증거를 가장 잘 설명할 가설은 그다음 단계에서 제시된다.
귀추법의 일반적 형식은
1. '어떤 현상(사실) A가 관찰된다'
2. 만일 가설 B가 참이면, A가 설명될 것이다.
3. 따라서 가설 B가 참일 것이다.
이다. 귀추법은 과학지식의 발달에 공헌하는 측면도 귀납법이나 연역법의 결론과 달리 '최선의 설명 추론'이다. 앞선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귀추법의 결론은 최선의 추론을 지지하는 하나의 증거일 뿐이지, 기존의 과학지식 체계에 대해지는 지식은 아니다. 그렇지만 과학교원임용평가에서는 빈번하게 출제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잘 숙지하는 것이 임용시험이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과학사] 티코 브라헤, 초신성 발견으로 기존 우주관을 부정하다 / 핵심정리/ 요약/ 요점 (0) | 2024.05.12 |
---|---|
과학적 방법(연역법, 전건 부정식과 후건 긍정식) (0) | 2022.12.20 |
과학적 방법(귀납법) (0) | 2022.12.19 |
현대적 과학철학(라카토스의 연구프로그램) (0) | 2022.12.18 |
현대적 과학철학(쿤의 패러다임과 과학혁명)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