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법은 귀납법과 거의 같은 시기에 과학적 방법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지금도 이론적 과학지식의 교수-학습에는 연역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역법도 적용상의 문제를 지니고 있어서 모든 과학 분야에서 적용되진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연역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연역법의 정의
연역법은 당연하고 확실한 전제들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는 논증 과정으로, 보편적인 사실들과 같은 전제들로부터 특수한 사례를 예측하거나 설명하는 등의 결론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전제가 참기고 과정이 타당하다면 연역법의 결론은 항상 참이다.
2. 연역 논리의 기초
연역 논리는 전건과 후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건은 과학적 가설이나 이론에 해당하고, 후건은 전건에 의해 예측된 실험 및 관찰 현상을 의미한다. 과학적 가설인 전건에 의하면 어떤 현상이 후건과 같이 일어나야 하는데, 만일 현상이 후건과 같지 않다면 가설인 전건이 틀린 것이게 되는 것이다. 가언적 삼단논법은 대명제가 가언 명제이고, 소전제와 결론은 정언 명제로 되어있다. 대전제(전제 1) 가언 명제가 만일 'p이면 q이다.'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소전제(전제 2)의 형태에 따라 다음 4가지 전제 쌍이 가능하다. 만일 p이면 q이다. 따라서 '이것은 p이다.(전건 긍정식)', '이것은 p가 아니다.(전건 부정식)', '이것은 q이다.(후건 긍정식)', '이것은 q가 아니다.(후건 부정식)'로 4가지 전제 쌍이 가능하다. 이중 전건 부정식과 후건 긍정식의 경우, 논리적 결론을 내릴 수 없다.
3. 연역법의 문제와 한계
연역법은 크네 4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전제가 거짓이면 논증 과정이 타당하더라도 연역적 논증의 결론이 거짓일 수 있다. 둘째, 전제의 참을 검증할 타당한 논리적 방법이 없다. 셋째, 연역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도 귀납적 방법밖에 없다. 넷째,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적 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연역법이 갖고 있는 한계는 명백하지만, 많은 수학과 과학의 지식 산출 방법으로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 순수한 논리적 추리로서의 연역적 추론에서는 전제의 진위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그릇된 전제로부터 옳지 않은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으나, 교수학습적으로 학생들의 과학적 방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과학사] 티코 브라헤, 초신성 발견으로 기존 우주관을 부정하다 / 핵심정리/ 요약/ 요점 (0) | 2024.05.12 |
---|---|
과학적 방법(귀추법) (0) | 2023.01.04 |
과학적 방법(귀납법) (0) | 2022.12.19 |
현대적 과학철학(라카토스의 연구프로그램) (0) | 2022.12.18 |
현대적 과학철학(쿤의 패러다임과 과학혁명) (0) | 2022.12.12 |